【제10회 국수산맥 국제대회 16강】 黑- #이치리키 료 一力遼 9단 VS 白- #김명훈 金明訓 9단
#이치리키 료 一力遼 9단
#이치리키 료 一力遼 9단 (1997년 6월 10일 ~ )
2010년 프로 입단 송광복(宋光復) 9단의 문하생
2012년 2단 승단
2013년 3단 승단, 제4회 오카게배 우승 (대 안자이 노부아키)
2014년 4단 승단, 제1회 글로비스배 우승(대 쉬자위안), 제5회 오카게배 우승(2연패), 제39기 신인왕전 우승, 7단 승단
2015년 제62기 NHK배 준우승 ※최연소(17세)
2016년 제25기 용성전 우승 ※최연소(19세 1개월), 종전기록 이야마 유타 9단 ※2009년 제18기 용성전 우승 20세, 제42기 천원전 준우승(1-3, 상대 이야마 유타 9단)
2017년 제64기 NHK배 준우승(상대 이야마 유타 9단), 제65기 왕좌전 준우승(0-3, 상대 이야마 유타 9단), 8단 승단, 제43기 천원전 준우승(0-3, 상대 이야마 유타 9단)
2018년 제42기 기성전 준우승(0-4, 상대 이야마 유타 9단), 제27기 용성전 우승(상대 모토키 카츠야 8단, 2연패), 제25기 아함동산배 (일본) 우승(상대 시바노 도라마루 7단), 제66기 일본 왕좌전 준우승(2-3, 상대 이야마 유타 9단)
2019년 제66기 NHK배 우승(상대 이야마 유타 9단),제28기 용성전 우승(상대 우에노 아사미 3단, 3연패), 제26기 아함동산배 (일본) 준우승(상대 장쉬 9단)
2020년 제67기 NHK배 준우승(상대 이야마 유타 9단), 제45기 작은기성전 우승(3-0, 상대 하네 나오키 9단) ♦ 생애 첫 타이틀 획득, 제29기 용성전 우승(상대 이야마 유타 9단, 4연패),제46기 천원전 우승(3-2, 상대 이야마 유타 9단), 9단 승단, 제11회 오카게배 바둑토너먼트 우승(상대 이다 아쓰시 8단)
2021년 제68기 NHK배 우승(상대 위정치 8단),제46기 명인전 준우승(3-4, 상대 이야마 유타 9단), 제47기 천원전 준우승(1-3, 상대 세키 고타로 7단)
2022년 제46기 기성전 우승(♦ 생애 첫 기성(棋聖) 타이틀 획득. 4-3, 상대 이야마 유타 9단), 제69기 NHK배 우승(통산 3번째(2019,2021,2022) (상대 다카오 신지 9단), 제47기 작은기성전 준우승(0-3, 상대 이야마 유타 9단)
2023년 제47기 기성전 우승(2연패 달성, 4-2, 상대 시바노 도라마루 9단), 제70기 NHK배 TV 바둑 토너먼트 준우승(상대 세키 고타로),제78기 혼인보전 우승(♦ 첫 본인방 타이틀 획득과 동시에 2012년부터 이어졌던 이야마 유타 9단의 본인방전 12연패를 저지했다, 4-3 상대 이야마 유타 9단),제48기 작은기성전 준우승(0-3, 상대 이야마 유타). 제49기 천원전 우승(3-1, 상대 세키 고타로), 제30기 아함동산배 (일본) 우승(상대 이야마 유타)
2024년 제48기 기성전 우승(3연패 달성, 4-3, 상대 이야마 유타), 제71기 NHK배 우승(상대 시바노 도라마루), 제79기 혼인보전 우승(본인방전 2연패 달성, 3-0 상대 위정치)
2022년 제46기 기성전에서 이야마 유타를 꺾고 일본 바둑 사상 전무후무한 기성전(棋聖) 10연패를 저지하면서 이야마(井山)의 시대를 막았다.
이치리키 료(一力)는 특이한 이력으로도 관심을 끄는 바둑 기사이기도 하다. 지난해 와세다 대학 시회학부 졸업과 동시에 신문기자(가호쿠 신보의 도쿄지사 편집부 기자)로 입사했다. 센다이시에 본사를 두고 있는 지역신문인 가호쿠 신보는 이치리키 료의 고조부 때부터 경영해 오고 있는 신문사. 창업가 집안의 후손인 이치리키 료 9단은 현 이치리키 마사히코 사장의 외아들 이기도 하다.
2023년 제78기 혼인보전에서 이야마 유타(몬유,文裕) 9단의 본인방전 12연패를 저지했다.
#김명훈 金明訓 9단 (1997년 4월 7일 ~ )
서울 태생으로 골든벨도장에서 바둑을 배웠다. 2014년 입단하여, 최단기간에 KBS바둑왕전 본선에 진출하는 기록을 세웠다. 같은 해 8월 렛츠런파크배 본선 16강에 올랐다. 2015년 제20기 GS칼텍스배 4강에 들었고, 3월에 2단으로 승단하였다. 2015년 렛츠런파크배 오픈토너먼트에서 준우승하여 3단으로 승단했고, 2016년 7월 4단을 거쳐 2017년 1월에 제2회 미래의 별 신예최강전 우승하여 5단으로 승단한 후 제19회 농심신라면배 세계바둑최강전에 한국 대표의 일원으로 출전했다.[1] 같은해 12월, 6단으로 승단했다. 2020년 8단을 거쳐 2022년에 9단으로 승단했다.
【제10회 국수산맥 국제대회 4강】 黑- #라이쥔푸 赖均辅 8단 VS 白- #변상일 卞相壹 9단 (0) | 2024.08.05 |
---|---|
【제10회 국수산맥 국제대회 16강】 黑- #자오천위 赵晨宇 9단 VS 白- #변상일 卞相壹 9단 (0) | 2024.08.05 |
【제10회 국수산맥 국제대회 8강】 黑- #라이쥔푸 赖均辅 8단 VS 白- #판팅위 范廷钰 9단 (0) | 2024.08.05 |
【제10회 국수산맥 국제대회 8강】 黑- #변상일 卞相壹 9단 VS 白- #강승민 姜昇旼 9단 (0) | 2024.08.05 |
【제10회 국수산맥 국제대회 16강】 黑- #이야마유타 井山裕太 9단 VS 白- #강승민 姜昇旼 9단 (0) | 2024.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