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회 삼성화재배 16강】 黑- #녜웨이핑 聂卫平 9단 VS 白- #조치훈 趙治勳 9단
#녜웨이핑 聂卫平 9단 (1952년 8월 17일 ~ )
허베이성(河北省) 출생. 9살 때 동생과 함께 부모님이 두던 바둑을 흉내내기 시작하면서 바둑을 배워 입문했다. 중국의 프로전문기사제도가 시행되면서 1982년 프로 바둑 기사로 데뷔했으나 9단으로 인정받았다. 1979년 세계아마추어바둑선수권대회 최초로 우승을 차지했으나,전국 대회 개인전 6회 우승을 비롯해 통산 26회 우승을 기록. 그의 별명인 '헤이룽장성의 반달곰', ‘철의 수문장’은 그의 두텁고 중후한 기풍을 설명해 준다.
그후 1980년대 중반 중일 슈퍼 대항전에서 중국팀 주장으로 출전해 11연승을 기록하며, 중국 바둑을 견인했다는 평을 듣고 있다. 이후 중국바둑협회로부터 ‘기성(棋聖)’ 칭호를 받았으며, 중국바둑협회 부주석 겸 기술위원회 주임을 역임했다.
1982년 9단 프로 데뷔 후 9단 인정
1979년 세계아마추어바둑선수권대회 우승
전국개인전 우승(1975, 1977, 1978, 1979, 1981, 1983)
신체육배 우승(1979, 1980, 1981, 1982, 1983, 1988, 1989, 1990)
제2회 기왕전 우승
십강전 우승(1987, 1988, 1989 등 6차례)
1987년 1회 CCTV배 우승 (대 차오다위안), 제1회 천원전 준우승 (대 마샤오춘 1:2),
1989년 제1회 응씨배 준우승 (대 조훈현 2:3)
1990년 제3회 후지쯔배 준우승 (대 린하이펑)
1991년 제1회 국수전 우승, 제5회 천원전 우승 (대 류샤오광 3:0)
1992년 제6회 천원전 우승 (대 마샤오춘 3:1), 제5회 중일 천원전 우승 (대 린하이펑 2:0)
1993년 5회 CCTV배 우승 (대 마샤오춘), 제5회 TV바둑 아시아 선수권대회 4강
제4회, 5회 동양증권배 4강
1995년 제6회 동양증권배 준우승 (대 마샤오춘 1:3), 제9회 천원전 도전권, 보성배 우승
마샤오춘과 7번기 특별대국에서 승리(4:3)
1997년 9회 CCTV배 우승 (대 위빈), 제9회 TV바둑 아시아 선수권대회 4강
1998년 제3회 삼성화재배 16강
2004년 제9회 삼성화재배 32강
2015년 제2회 몽백합배 본선64강
2019년 초대 응씨배 제패 30주년 특별대국 (대 조훈현 승리)
#조치훈 趙治勳 9단 (1956년 6월 20일 ~ )
그는 부산 출생이며 한때 서울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다. 이후 일본으로 건너가 활동 중이며, 그의 바둑 제자는 같은 한국 국적의 일본 기사인 김수준 9단이 있다. 그 외 다른 제자들은 한국기원과 일본기원 그리고 관서기원에서도 활동하고 있다.
유명한 대국으로는 휠체어 대국이 있다. 그는 전치 25주에도 불구하고 바둑을 두었다. 이 때에 목숨을 걸고 둔다는 명언이 나왔다. 최근에는 인공지능 딥젠고와 2승1패로 승리했다. 또한 전 세계에서 두 번째로 명예 명인이다.
1962년 6세때 일본으로 건너감. 기타니 미노루(木谷 實) 9단 문하로 입문.
1968년 프로 입단(만 11세 8개월로 일본기원 최연소 입단 기록)
1968년 2단.
1975년 제12기 프로십걸전 우승. 최초의 빅 타이틀.
1980년 명인전 우승. 이후 명인전을 5연패하여 최초의 명예명인(名譽名人) 자격 획득.
1981년 4월 9단.
1983년 기성전, 명인전, 혼인보전에 우승하여 최초의 대삼관(大三冠) 달성.
1987년 천원전에 우승하여 최초의 그랜드슬램 달성.
1989년 혼인보 탈환. 이후 1998년까지 10연패하여 제25대 명예 혼인보(혼인보 치훈) 자격 획득.
1991년 후지쯔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 우승.
1997년 두 번째 대삼관 달성.
2003년 제8회 삼성화재배 세계바둑오픈에 후원사 시드(와일드카드)를 받아 출전하여 우승을 차지.
2005년 일본기원 사상 세 번째 통산 1천200승 달성.(48세 7개월.승단 후 36년9개월만에 거둔 1천200승은 일본기원 사상 최단기)
2005년-2007년 십단전 3연패 달성.
2007년 NHK배 우승. (통산 70회 우승)
2008년 일본기원 사상 두 번째 통산 1천300승 달성(51세 11개월. 승단 후 40년 2개월만에 거둔 1천300승은 일본기원 사상 최단기),제32기 일본 기성전 준우승
2008년 8월11일 일본기원 사상 두 번째 통산 2천국 대국.
2010년 12월 일본 최다승 경신.(1364승),제17기 아함동산배 준우승
2011년 제1회 일본 바둑 마스터즈 우승,9월 현재 일본 최다 통산 타이틀 획득(72회) 기록.
2012년 9월 27일 일본기원 사상 최초 통산 1천400승 달성 (56세 3개월.)[1]
2014년 현재 일본 통산 최다 타이틀 획득(73회) 기록. 제4회 일본 바둑 마스터즈 우승
2015년 제5회 일본 바둑 마스터즈 우승(2연패)
2016년 제23기 일본 아함동산배 준우승
2017년 4월 27일 일본기원 사상 최초 통산 1천500승 달성(60세 10개월), 제7회 일본 바둑 마스터즈 준우승,
2019년 제9회 일본 바둑 마스터즈 우승, 일본 통산 최다 타이틀 획득(75회) 기록
【2024 한국여자바둑리그 6R1G-2】 黑- #김주아 金湊芽 3단 VS 白- #김은선 金恩善 6단 (0) | 2024.08.16 |
---|---|
【2024 한국여자바둑리그 6R1G-1】 黑- #허서현 許瑞玹 4단 VS 白- #스미레 仲邑菫 3단 (0) | 2024.08.16 |
【제3회 삼성화재배 8강】 黑- #가토 마사오 加藤 正夫 9단 VS 白- #마샤오춘 馬曉春 9단 (0) | 2024.08.14 |
【제29기 여자 국수전 16강】 黑- #김경은 金京垠 4단 VS 白- #조혜연 趙惠連 9단 (0) | 2024.08.14 |
【제29기 여자국수전 16강】 黑- #조승아 曺承亞 6단 VS 白- #김은선 金恩善 6단 (0) | 2024.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