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제1회 응씨배 결승3국】 黑- #녜웨이핑 聂卫平 9단 VS 白- #조훈현 曺薰鉉 9단

바둑복기

by 곱상한털보 2024. 7. 23. 14:06

본문

반응형

 

【제1회 응씨배 결승3국】 黑- #녜웨이핑 聂卫平 9단 VS 白- #조훈현 曺薰鉉 9단

 

#녜웨이핑 聂卫平 9단 (1952년 8월 17일 ~ )
허베이성(河北省) 출생. 9살 때 동생과 함께 부모님이 두던 바둑을 흉내내기 시작하면서 바둑을 배워 입문했다. 중국의 프로전문기사제도가 시행되면서 1982년 프로 바둑 기사로 데뷔했으나 9단으로 인정받았다. 1979년 세계아마추어바둑선수권대회 최초로 우승을 차지했으나,전국 대회 개인전 6회 우승을 비롯해 통산 26회 우승을 기록. 그의 별명인 '헤이룽장성의 반달곰', ‘철의 수문장’은 그의 두텁고 중후한 기풍을 설명해 준다.

그후 1980년대 중반 중일 슈퍼 대항전에서 중국팀 주장으로 출전해 11연승을 기록하며, 중국 바둑을 견인했다는 평을 듣고 있다. 이후 중국바둑협회로부터 ‘기성(棋聖)’ 칭호를 받았으며, 중국바둑협회 부주석 겸 기술위원회 주임을 역임했다.

1982년 9단 프로 데뷔 후 9단 인정
1979년 세계아마추어바둑선수권대회 우승
전국개인전 우승(1975, 1977, 1978, 1979, 1981, 1983)
신체육배 우승(1979, 1980, 1981, 1982, 1983, 1988, 1989, 1990)
제2회 기왕전 우승
십강전 우승(1987, 1988, 1989 등 6차례)
1987년 1회 CCTV배 우승 (대 차오다위안), 제1회 천원전 준우승 (대 마샤오춘 1:2),
1989년 제1회 응씨배 준우승 (대 조훈현 2:3)
1990년 제3회 후지쯔배 준우승 (대 린하이펑)
1991년 제1회 국수전 우승, 제5회 천원전 우승 (대 류샤오광 3:0)
1992년 제6회 천원전 우승 (대 마샤오춘 3:1), 제5회 중일 천원전 우승 (대 린하이펑 2:0)
1993년 5회 CCTV배 우승 (대 마샤오춘), 제5회 TV바둑 아시아 선수권대회 4강
제4회, 5회 동양증권배 4강
1995년 제6회 동양증권배 준우승 (대 마샤오춘 1:3), 제9회 천원전 도전권, 보성배 우승
마샤오춘과 7번기 특별대국에서 승리(4:3)
1997년 9회 CCTV배 우승 (대 위빈), 제9회 TV바둑 아시아 선수권대회 4강
1998년 제3회 삼성화재배 16강
2004년 제9회 삼성화재배 32강
2015년 제2회 몽백합배 본선64강
2019년 초대 응씨배 제패 30주년 특별대국 (대 조훈현 승리)

#조훈현 曺薰鉉 9단 (1953년 4월 23일~)
1962년 9세의 나이로 세계 최연소 입단.
1963년 일본에 건너가 세고에 겐사쿠(瀨越憲作) 9단 문하에 들어감.
1966년 일본기원 초단으로 입단.
1972년 병역문제로 귀국, 일본기원 5단 인정.
1974년 최고위전 우승
1976년 국수전 우승
1977년 왕위전 우승
1980년 전관왕(9관왕) 달성(최강자, 왕좌, 왕위, 국수, 국기, 최고위, 패왕, 명인, 백남배).
1982년 한국 최초 9단에 오름(29세). 전관왕(10관왕) 달성(제1기 KBS바둑왕전 우승(원년) 추가). 부인 정미화 씨와 결혼
1983년 제2기 KBS 바둑왕전 우승(2연패)
1984년 국수전 9연패
1985년 국수전 10연패, 제4기 KBS 바둑왕전 우승
1986년 전관왕(11관왕) 달성(천원 추가).
1987년 제6기 KBS 바둑왕전 우승
1988년 제8기 KBS 바둑왕전 우승
1989년 100회 타이틀 달성. 왕위전 우승, 제7기 MBC 제왕전 우승, 잉창치배 우승. 은관 문화훈장 서훈.
1990년 제1기 기성전 우승. 왕위전 10연패 달성. 제8기 MBC 제왕전 우승, 제9기 KBS 바둑왕전 우승
1991년 제10기 KBS 바둑왕전 우승. 35기 국수전 우승
1992년 제3기 기성전 우승. 제11기 KBS 바둑왕전 준우승. 36기 국수전 우승. 제4회 TV바둑 아시아 선수권대회 준우승
1993년 패왕전 최다연패(16연패). 제5회 후지쓰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 준우승,
1994년 제12기 KBS 바둑왕전 우승, 제12기 MBC 제왕전 우승. 제6회 후지쓰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 우승, 제5회 동양증권배 우승. 바둑문화상 최우수기사상 수상
1995년 제13기 KBS 바둑왕전 준우승. 제12기 박카스배 우승. 제13기 MBC 제왕전 우승. 1,000승 기록 달성. 제7회 TV바둑 아시아 선수권대회 준우승. 바둑문화상 최다승기록상 수상
1996년 제14기 KBS 바둑왕전 승자조 4강. 기왕전 우승. 패왕전 우승. BC카드배 우승. 제4기 SBS배 연승바둑최강전 준우승. 제1기 테크론배 준우승. 제1기 박카스배 천원전 준우승 한국 기네스 협회 선정 최다 연승 및 최다 타이틀 획득. 바둑문화상 최다승기록상 수상(1996년 69승 36패)
1997년 제15기 KBS 바둑왕전 우승. 제4기 배달왕기전 우승. 제32기 패왕전 우승. 제28기 명인전 우승. 제8기 동양증권배 우승.
1998년 제16기 KBS 바둑왕전 우승. 제17기 KBS 바둑왕전 본선. 제33기 패왕전 우승. 제42기 국수전 우승. 제29기 명인전 준우승.
1999년 제18기 KBS 바둑왕전 우승. 제1회 춘란배 우승. 바둑문화상 수훈상 수상(서봉수 九단과 함께 동시 공동 수상)
2000년 제43기 국수전 준우승. 제34기 패왕전 우승. 제31기 명인전 준우승. 후지쓰배, 제1회 농심신라면배 한국 대표 우승 수훈, 제12기 TV 아시아 바둑 선수권 우승. 제5회 삼성화재배 8강
2001년 제35기 패왕전 준우승. 제44기 국수전 우승. 후지쓰배, 제2회 농심신라면배 한국 대표 우승 수훈, 제6회 삼성화재배, 제13기 TV 아시아 바둑 선수권 우승. 바둑문화상 우수기사상 수상
2002년 제1기 KT배 우승, 제7회 삼성화재배 우승. 농심신라면배 한국 대표. 바둑문화상 “우수기사상” 수상.
2003년 CSK배 바둑 아시아대항전 한국 대표. 제8회 삼성화재배 8강. 제37기 왕위전 준우승. 제14기 기성전 준우승. 34기 명인전 준우승.
2004년 제23기 KBS 바둑왕전 본선. 2004한국바둑리그 “한국얀센” 주장
2005년 제24기 KBS 바둑왕전 본선.
2008년 제27기 KBS 바둑왕전 본선. 전자랜드 현무왕전 준우승
2009년 BC카드배 월드바둑 챔피언십 본선 4강 진출
2009년 바투인비테이셔널 10강 (1승 3패)
2009년 월드바투리그 시즌 1 듀얼토너먼트 D조 출전
2010년 제1기 대주배 우승
2011년 제30기 KBS 바둑왕전 본선
2012년 제2기 대주배 준우승(대 서능욱 九단)
2013년 제32기 KBS 바둑왕전 본선
2016년 5월 ~ 2020년 5월 제20대 국회의원 (비례대표, 새누리당→자유한국당)
2016년 6월 ~ 2018년 5월 제20대 국회 전반기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위원
2018년 2월 ~ 2018년 5월 제20대 국회 전반기 여성가족위원회 위원
2018년 7월 ~ 2020년 5월 : 제20대 국회 후반기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위원
2018년 10월 ~ 2019년 6월 : 제20대 국회 후반기 윤리특별위원회 위원
2020년 2월 ~ 2020년 3월 : 미래한국당 사무총장
2020년 3월 : 미래한국당 4·15 공천관리위원회 부위원장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