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LG배 조선일보 세계기왕전 8강전 흑:변상일 9단 VS 백:박정환 9단

LG배

by 곱상한털보 2024. 10. 1. 08:02

본문

반응형
반응형

흑: 변상일 9단  VS  백: 박정환 9단

 

LG배 조선일보 세계기왕전
대국날짜 : 2024년09월30일
제한시간 : 3시간 40초 5회
대국결과 : 덤6.5 237수 흑불계승
우승상금 : 300,000,000원

주요내용: 
한국기원 주관 바둑 기전. 조선일보가 주최하고 LG의 후원으로 열리는 국제 기전이다. 삼성화재배와 더불어서 두 개 남은 한국 주최 국제 기전이다. 보통 LG배로 불린다.
1974년부터 26년 간 개최된 기왕전의 후속 바둑 기전이다. 조선일보가 주최하는 기전인데 정작 TV CHOSUN에서 생방송 중계를 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LG배의 공식 중계 채널은 없다. 바둑TV에서는 삼성화재배처럼 공식 방송 계약이 되어 있지 않아 복기 아르바이트를 써서 사이버오로를 통해 넘어오는 수순으로 중계한다.

국가시드 몫 한 자리를 놓고 선발전을 진행한 대만은 8명의 기사가 결선 토너먼트를 가졌고 결승에서 라이쥔푸가 쉬하오훙을 꺾고 본선 티켓을 따냈다. 대만 국가시드 선발전은 이 대회 본선과 동일한 룰(각자 3시간, 40초 초읽기 5회)로 대국했다.(관련기사) 참고로 국가시드 결승에서 탈락한 쉬하오훙은 와일드카드로 LG배에 출전하게 됐다.
중국 선발전은 4월 중국랭킹 상위 16명(국가시드를 받은 딩하오와 셰얼하오는 제외, 18위까지 참가)의 선수들이 참가해 4개조 듀얼 토너먼트로 진행한 뒤 각 조 1, 2위로 통과한 선수가 조별 최종 결승에서 대결하여 승리한 4명의 선수가 본선에 진출했다.(관련 기사)
일본 선발전에서는 사카이 유키와 이다 아쓰시를 꺾은 쉬자위안이 선발전 티켓을 따냈다. 이다 아쓰시는 선발전에서 탈락했으나 국가시드를 받고 출전하게 됐다. 일본의 경우 기전 스케줄에 따라 출전 여부가 정해지는데 이치리키 료(일본 6관왕)는 혼인보전 도전기 일정과 겹쳐 출전하지 않았다.


8강에 한국 6명, 중국 2명이 진출 함에 따라서 8강에서는 한중전 두 판, 한국 선수끼리 대결 2판이 열리게 되었다. 대진 추첨 결과는 전체적으로 불리하게 짜였다는 평이 많은데 신진서가 탈락한 상황에서 한국 측 선수 중 가장 강자에 속하는 박정환[7](한국랭킹 2위[9월]), 신민준[9](한국랭킹 3위[9월]), 변상일(한국랭킹 4위[9월])이 모두 우리나라 선수끼리 대결하는 대진으로 8강을 치르게 됐다. 특히 박정환과 변상일의 맞대결이 성사된 것과 중국의 커제와 딩하오가 상대적으로 유리한 대진이 짜여졌다는 것이 아쉽다는 평이다.

Sanchez%20Perrier_Emilio_On_The_River%20s_Edge_At_Dusk


변상일 9단 (卞相壹, 1997년 1월 14일 ~ )
2012년 olleh배 3라운드 진출, 바이링배 64강, 2단 승단
2013년 동아팜텍배 신인왕전 우승 (대 이동훈), 제4회 인천 실내&무도 아시안게임 남자개인 은메달, 남자단체 금메달
2014년 3단 승단, 제1기 메지온배 신인왕전 우승(대 민상연 2-1)
2017년 제4회 글로비스배 준우승(대 신진서)
2018년 JTBC 챌린지매치 3차대회 우승(대 신민준)
2021년 제26기 GS칼텍스배 준우승 (대 신진서 2-3), 제44기 SG배 명인전 준우승 (대 신진서 1-2), 제7회 국수산맥 국제바둑대회 세계프로최강전 우승(대 신진서 1-0)
2022년 제5기 크라운해태배 우승 (대 한승주 2-1)
2023년 제24회 춘란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 우승 (대 리쉬안하오 2-0)
2024년 제28회 LG배 준우승 (대 신진서 0-2), 제6회 안동시 백암배 프로아마오픈부 우승(대 강동윤 1-0)

※ 경력사항 ※ 
한국기원 바둑기사 정보

Steele_Theodore_Clement_Brookville


박정환 9단 (朴廷桓, 1993년 1월 11일~ )
2006년 13세의 나이로 입단하였으며, 2010년 아시안 게임 바둑 종목에 출전, 금메달 2개를 획득하여 9단으로 특별 승단하였다. 2011년 후지쯔배에서 추쥔 8단을 꺾고 우승함으로써 주요 세계 기전 첫 우승을 이루었다.

2007년 엠게임 마스터스 챔피언십 우승
2009년 십단전 우승
2009, 2014년 박카스배 천원전 우승
2010년 바둑대상 신예기사상 수상
2010년 원익배 십단전 우승
2010년 한중통합천원전 우승
2010년 제16회 광저우 아시안 게임 바둑 혼성 페어 금메달, 남자 단체전 금메달
2011~2013년 KBS 바둑왕전 3연패
2011년 후지쯔배 우승 (추칀)
2011년 제16기 GS칼텍스배 우승
2012년 제13기 맥심커피배 우승
2013년 제14기 맥심커피배 2연승
2013년 제7회 응창기배 준우승(1:3판팅위)
2014년 바둑대상 대상 수상
2014년 제58기 국수전 우승
2015년 제19회 LG배 세계기왕전 우승(2:1김지석)
2016년 KBS 바둑왕전 우승
2016년 제59기 국수전 우승
2016년 제8회 응창기배 준우승 (2:3탕웨이싱)
2017년 월드바둑챔피언십 우승
2017년 제18기 맥심커피배 우승
2017년 제1회 크라운해태배 우승
2018년 제3회 몽백합배 우승 (3:0박영훈)
2018년 월드바둑챔피언십 2연패
2018년 국수산맥 국제바둑대회 세계부문 우승
2018년 CCTV 하세배 우승
2019년 CCTV 하세배 2연패
2019년 월드바둑챔피언십 3연패
2019년 제12회 춘란배 우승 (2:0박영훈)
2019년 제1기 바둑TV배 마스터스 우승
2019년 제2기 용성전 우승
2020년 CCTV 하세배 3연패
2020년 제24회 LG배 조선일보 기왕전 준우승 (0:2신진서)
2020년 제1기 쏘팔코사놀배 준우승 (0:3신진서)
2020년 제3기 용성전 준우승 (0:2신진서)
2021년 제2기 쏘팔코사놀배 준우승 (2:3신진서)
2021년 제4기 용성전 준우승 (1:2신진서)
2021년 제26회 삼성화재배 월드 바둑마스터스 우승 (2:1신진서)
2021년 제40기 KBS 바둑왕전 준우승(0-2신진서)
2022년 제1기 우슬봉조배 한국기원선수권전 우승(3-0이동훈)
2022년 제23기 맥심커피배 우승(2-0이동훈)
2022년 제1기 YK건기배 준우승(0-2강동윤)
2023년 제2기 한국기원선수권전 우승(3-2설현준)

※ 경력사항 ※ 
한국기원 바둑기사 정보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