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LG배 조선일보 세계기왕전 8강전 흑:커제 9단 VS 백:한상조 6단

LG배

by 곱상한털보 2024. 10. 1. 08:20

본문

반응형
반응형

흑:커제 9단  VS  백:한상조 6단

 

LG배 조선일보 세계기왕전
대국날짜 : 2024년09월30일
제한시간 : 3시간 40초 5회
대국결과 : 덤6.5 207수 흑불계승
우승상금 : 300,000,000원

주요내용: 
한국기원 주관 바둑 기전. 조선일보가 주최하고 LG의 후원으로 열리는 국제 기전이다. 삼성화재배와 더불어서 두 개 남은 한국 주최 국제 기전이다. 보통 LG배로 불린다.
1974년부터 26년 간 개최된 기왕전의 후속 바둑 기전이다. 조선일보가 주최하는 기전인데 정작 TV CHOSUN에서 생방송 중계를 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LG배의 공식 중계 채널은 없다. 바둑TV에서는 삼성화재배처럼 공식 방송 계약이 되어 있지 않아 복기 아르바이트를 써서 사이버오로를 통해 넘어오는 수순으로 중계한다.

국가시드 몫 한 자리를 놓고 선발전을 진행한 대만은 8명의 기사가 결선 토너먼트를 가졌고 결승에서 라이쥔푸가 쉬하오훙을 꺾고 본선 티켓을 따냈다. 대만 국가시드 선발전은 이 대회 본선과 동일한 룰(각자 3시간, 40초 초읽기 5회)로 대국했다.(관련기사) 참고로 국가시드 결승에서 탈락한 쉬하오훙은 와일드카드로 LG배에 출전하게 됐다.
중국 선발전은 4월 중국랭킹 상위 16명(국가시드를 받은 딩하오와 셰얼하오는 제외, 18위까지 참가)의 선수들이 참가해 4개조 듀얼 토너먼트로 진행한 뒤 각 조 1, 2위로 통과한 선수가 조별 최종 결승에서 대결하여 승리한 4명의 선수가 본선에 진출했다.(관련 기사)
일본 선발전에서는 사카이 유키와 이다 아쓰시를 꺾은 쉬자위안이 선발전 티켓을 따냈다. 이다 아쓰시는 선발전에서 탈락했으나 국가시드를 받고 출전하게 됐다. 일본의 경우 기전 스케줄에 따라 출전 여부가 정해지는데 이치리키 료(일본 6관왕)는 혼인보전 도전기 일정과 겹쳐 출전하지 않았다.


8강에 한국 6명, 중국 2명이 진출 함에 따라서 8강에서는 한중전 두 판, 한국 선수끼리 대결 2판이 열리게 되었다. 대진 추첨 결과는 전체적으로 불리하게 짜였다는 평이 많은데 신진서가 탈락한 상황에서 한국 측 선수 중 가장 강자에 속하는 박정환[7](한국랭킹 2위[9월]), 신민준[9](한국랭킹 3위[9월]), 변상일(한국랭킹 4위[9월])이 모두 우리나라 선수끼리 대결하는 대진으로 8강을 치르게 됐다. 특히 박정환과 변상일의 맞대결이 성사된 것과 중국의 커제와 딩하오가 상대적으로 유리한 대진이 짜여졌다는 것이 아쉽다는 평이다.

Pether_Henry_Marlow_On_Thames


커제 9단 (柯洁, 1997년 8월 2일 ~ )
2008년 입단
2013년 제18회 삼성화재배 16강, 갑조리그 15승 6패(저장팀 소속)
2014년 천원전 준우승(대 천야오예 1-2), 갑조리그 18연승, 아함동산배 우승(대 탕웨이싱)
2015년 제2회 백령배 우승 (대 추쥔 3:2), 삼성화재배 우승(대 스웨 2:0), LG배 8강
2016년 제2회 몽백합배 우승 (대 이세돌 3:2)
2017년 제1회 신오배 우승 (대 펑리야오 3:2), 제8기 용성전 우승(대 리친청 2:0)
2018년 제6회 CCTV 하세배 한중일 바둑쟁패전 준우승(대 박정환), 제23회 삼성화재배 우승(대 안국현 2:1), 제9기 용성전 우승(대 롄샤오 2:1), 제 4회 중일용성전 준우승(대 시바노 도라마루 0:1)
2019년 제7회 CCTV 하세배 한중일 바둑쟁패전 준우승(대 박정환), 제 4회 바이링배 우승(대 신진서 2:0), 제 3회 월드바둑챔피언십 준우승(대 박정환), 제18기 서남왕배 우승(대 당이페이), 제4기 낙양용문배 기성전 우승(대 롄샤오 2:1), 제16기 창기배 우승(대 저우루이양 2:0)
2020년 제8회 CCTV 하세배 한중일 바둑쟁패전 준우승(대 박정환), 제2기 왕중왕바둑쟁패전 우승(대 탕웨이싱 1:0), 제 25회 삼성화재배 우승(대 신진서 2:0)
2021년 제25회 LG배 조선일보 기왕전 준우승(대 신민준 1:2), 제5기 기성전 우승(대 스웨 2-0), 중국 TV 바둑 속기전 우승(대 당이페이), 제1기 국수전 준우승(대 딩하오)
2022년 제21기 서남왕배 우승(대 탕웨이싱)

커제는 1997년 중화인민공화국 저장성, 리수이 시에서 태어났다. 5세 때인 2003년부터 바둑을 배우기 시작했으며, 2008년에 프로 기사가 되었다, 2015년에 九단이 되었다. 2015년 1월에 제2회 백령배 결승전에서 추쥔 九단을 이기고 첫 번째 세계 타이틀을 획득하였다. 2015년 12월에는 제20회 삼성화재배에서 스웨 九단을 이기고 우승하였다. 2016년 1월에는 제2회 몽백합배에서 대한민국의 프로 기사 이세돌 九단을 이기고 우승하였다.

※ 경력사항 ※ 
한국기원 바둑기사 정보

Pether_Henry_Moonlight_In_Venice


한상조 6단 (韓相朝, 1999년 9월 28일 ~ )
충남 천안 출신으로 초등학교 방과후교실을 통해 처음 바둑을 접했다.[1] 대전 안관욱 바둑도장을 거쳐 충암 바둑도장에서 김대용 사범의 지도를 받았다. 2012년부터 한국기원 소속 연구생으로 활동했다. 2017년 12월 제140회 일반입단대회를 통해 입단했다.[2] 아마추어 신분으로 참가한 제5회 메지온배 오픈신인왕전에서 본선 4강에 올랐고 준우승을 차지했다.[2] 2020년 1월 2단에 이어 같은해 11월에 3단으로 승단했다. 이듬해 2021년에 4단으로 승단했다.

※ 경력사항 ※ 
한국기원 바둑기사 정보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